"실거래가랑 호가는 어디서 보고 비교하지?"
1탄. 네이버 부동산' 이용해서 '호가, 실거래가 확인하기
실거래가와 호가 확인으로는
'네이버 부동산, 아실, KB부동산'
이 세 가지 앱을 주로 사용하는데,
각 앱마다 특성이 조금씩 달라서
필요에 따라 맞는 앱을 사용하는 게 좋다.
1. 네이버 부동산
- 호가를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사이트(앱)
- 우리나라 대표적 부동산 싸이트, 많은 부동산 사장님께서 네이버 부동산을 이용하다 보니 이 곳에서 많은 매물 확인 가능
- 무엇보다 네이버이기에, 네이버 아이디 하나쯤은 다 가지고 있어서 접근성이 편리.
- 지도 기반으로 매물 검색이 빠르고, 매물 사진과 정보가 자세하다.
- 실거래가도 요약 형태로 확인 가능하지만, 한눈에 보긴 어렵다.
※ 주로 "현재 시장에 나온 매물 가격(호가)" 확인용으로 사용.
* 네이버 부동산 사용 방법
- 호가 -
① '검색창' 에서 보고 싶은 단지명을 넣어줘도 되고, 지역을 보고 싶다면 '지명 (ex. 대구)' 이렇게 넣어줘도 된다.
② or 아래 지도 지역 선택란에서 원하는 지역을 선택해서 원하는 단지를 찾아도 된다.
③ 단지명을 넣어주면 검색결과에 같은 이름의 단지가 있는 경우 주소와 함께 리스트가 나온다. 원하는 단지 선택
④ 단지에서 '단지정보' 클릭
⑤ 아파트 단지의 정보와 '매,전,월' 리스트가 나온다.
⑥ '전체거래방식' 에서 [매매, 전세, 월세] 중 원하는 것 선택
⑦ '전체면적' 에서 원하는 평수 선택
⑧ '낮은가격, 높은가격' 매물이 적으면 한 눈에 보이지만, 많을 경우 둘 다 체크해서 이 곳은 전체적 가격 흐름을 파악한다.
⑨ '동일매물묶기' 체크 _ 한 주인이 여러 부동산에 매물을 내놓을 경우 묶어서 볼 수 있다.
<이 내용을 통해 파악하거나, 궁금증이 드는 것들 정리>
ㄱ. 확인 가능한 정보
- '중개사 27곳' 은 한 주인이 27곳의 부동산에 해당 매물을 팔기위해 내놓았다는 것.
- 클릭해보면, 매물을 등록한 부동산과 날짜, 가격, 매물에 대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다.
- 부동산 사장님 마다 해당 매물에 대한 설명과 가격이 다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살펴보는게 좋다.
- 설명글들의 경우 조합해서 한 부동산에 매물 문의할 때 함께 문의하면 좋다.
- 확인매물 날짜를 보면 이 매물이 언제부터 등록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.
- 이 매물 경우 25.4.4일 광고글이 가장 오래 되었는데, 화살표가 아래로 내려와 있는거 보니 이전에 더 높은 가격에 등록이 되었다가 변동 된걸 알 수 있다.
ㄴ. 정보가 더 필요해. (자료를 더 찾거나, 부동산 사장님께 문의하기)
- 가격을 보니 최근에 등록이 더 높은 가격으로 적혀 있는데, 분위기가 1달 사이 약간의 상승 흐름이었나?
- '조정 조금 가능해요' 말씀해주실 경우, 좋은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의 조금의 차이는 크다.
- (100원의 10%는 10원이고, 10000원의 10%는 1000원) 인 것과 같다.
- 26억9천~28억까지 등록되어 있는데, 이 곳은 얼마에 매매가 가능한 걸까?
- 동의 위치, 층을 다른 곳과 비교했을 때, 이 가격이 저렴한 가격이 맞을까? 정말 급매일까?
- 등등의 궁금증이 생기면, 충분히 자료를 찾아보고 왜 그런지, 이 가격이 저렴한게 맞는지 파악하는게 중요하다.
ㄷ. 하나를 선택해서 눌러보면, 해당 매물의 공급/전용면적, 방수/욕실수, 방향, 현관구조 등 더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.
- 부동산 마다 입주가능일이 이렇게 협의 가능, 또는 다른 날짜가 다른 경우가 많은데 조율 가능한 날짜는 재확인 필요.
- 매물 설명도 부동산 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다. 그런 내용들은 정리 해두었다가 함께 문의
- 실거래가 -
ㄱ. 위에 내용에 연결해서, [시세/실거래가] 를 누르면, 이렇게 내가 보고 있는 매물과 같은 평형대의 '매,전,월' 실거래가 그래프가 나온다. 이 그래프를 통해 간단하게 최근 거래가 얼마나 이뤄지고 있는지, 실거래 가격이 어떤지 파악할 수 있다.
ㄴ. 아래로 스크롤 하면, 실거래가와 계약 날짜, 층을 확인 할 수 있다.
ㄷ. 모바일 네이버 부동산 어플로 피씨와 같은 방식으로 실거래가 확인할 경우 계약일과 등기일 따로 확인할 수 있다.
같은 네이버 부동산 임에도 피씨와 모바일이 살짝 다르듯
각 앱마다 강점이 다르기 때문에
한 가지 앱만 보는 것보다, 상황에 맞춰 조합해서 보는 게 훨씬 정확하다.
네이버 부동산은 호가 흐름을 빠르게 보는 데는 좋지만,
실거래가 흐름을 전체적으로 보기에는 아쉬운 점이 있다.
다음 글에서,
실거래가를 더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는 '아실' 앱 활용 방법 정리.
(앱 사용방법은 2탄에서)
2.아실 (아파트 실거래가)
실거래가를 가장 정확하고 디테일하게 볼 수 있는 앱
(앱 사용방법은 3탄에서)
3.KB부동산
시세 예측과 지역 통계에 강한 앱
'라이프 스타일 > 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동산 호가 vs 실거래가 – 왜 차이가 있을까? (0) | 2025.04.25 |
---|---|
아파트 남향 vs 남서향 vs 남동향, 방향 선택 전 알아야 할 것들 (0) | 2025.04.25 |
아파트 현관 구조 – 계단식, 복도식, 복합식? (0) | 2025.04.24 |
소유권이전, 간편하게 핸드폰으로 확인 (인터넷등기소) (0) | 2025.03.31 |
매매, 전세 동시 진행 (매수자, 임차인 체크사항) (1) | 2025.03.27 |